🧬 AI 신약 3인방 비교 분석!
엔드바이오 · 신테카바이오 · 파로스아이바이오, 누가 진짜 주도주인가?
🧬 엔드바이오 · 신테카바이오 · 파로스아이바이오 투자 매력 비교
🧠 1. AI로 신약을 만든다고요?
요즘 바이오 섹터의 핵심 키워드는 단연 "AI 신약개발".
전통적 신약개발이 10년 넘게 걸리고 수천억 원이 소요되는 반면, AI 기반 플랫폼은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도 성공 확률을 높이는 혁신이라 불려.
그 중심에 선 세 기업이 있어.
기업 | 상장일 | 핵심 키워드 |
파로스아이바이오 | 2023.07 | 전임상 + 임상 직전 |
엔드바이오 | 2022.10 | 대사질환 AI신약 |
신테카바이오 | 2019.12 | 게놈 분석 기반 후보 발굴 |
🧪 2. 핵심 기술력 비교
항목 | 파로스아이바이오 | 엔드바이오 | 신테카바이오 |
기반 기술 | 구조 기반 약물설계 + AI 후보발굴 | 딥러닝 기반 대사질환 신약 개발 | 게놈 분석 기반 AI 스크리닝 |
자체 파이프라인 | PHI-501 (폐암) | EDB-01 (지방간·당뇨) | STB-C017 (뇌질환) |
차별점 | 직접 신약 설계 + 임상 준비 | 플랫폼 + 글로벌 진출 노림수 | AI 예측 정확도 개선 모델 |
✔️ 파로스는 임상 진입에 가장 가까움
→ 기술→전임상→IND까지 진척도 빠름
📊 3. 실적 & 시가총액 비교 (2025년 5월 기준)
항목 | 파로스 | 엔드바이오 | 신테카바이오 |
매출 | 3억 미만 | 10억 이하 | 30억 수준 |
순손실 | 약 -22억 | 약 -35억 | 약 -70억 |
시가총액 | 약 923억 | 약 700억 | 약 1,200억 |
PER | 음수 (적자지속) | 음수 | 음수 |
ROE | -44.9% | -30%대 | -70%대 |
📌 세 기업 모두 적자 상태
→ ‘실적’보다 ‘기술력’과 ‘테마성’으로 평가받는 종목
🔬 4. 파이프라인 진척도 & 기대감
파로스아이바이오
- PHI-501, 전임상 완료
- IND 신청 → 1상 진입 예정
- 美암학회(AACR 2025) 발표로 글로벌 관심 ↑
엔드바이오
- 대사질환 중심 파이프라인
- 오가노이드 실험/중국 시장 진출 시도 중
신테카바이오
- AI 후보발굴 → 기술이전 중심
- 다수의 후보물질 있지만 임상 성과는 제한적
✔️ 파로스는 가장 진도 빠름 + 발표 임팩트 있음
💡 5. 차별화 포인트
구분 | 파로스아이바이오 |
✔️ 실적 부진? | 맞지만, 임상 진입 확실성 보유 |
✔️ 투자 리스크? | 기술특례 상장 기업이므로 관리 필요 |
✔️ 테마 모멘텀? | AI + 폐암치료 + 글로벌 학회 발표! |
✔️ 경쟁사 대비? | 단기 주가 모멘텀과 기대감 가장 높음 |
✨ 마무리하며
AI 신약개발이라는 신세계의 문을 연 세 기업, 엔드바이오, 신테카바이오, 파로스아이바이오.
하지만 **‘가장 앞서 임상 문턱을 넘는 기업은 파로스’**다.
기대감이 현실이 되기 직전,
그 순간이 가장 강한 주가 모멘텀을 만든다.
📌 단기 변동성은 크지만,
📌 AI 바이오 선도주를 노린다면, 파로스를 기억하라.
🧬 AI 기반 바이오, 신테카바이오 주가 분석 “테마는 뜨겁다, 실적은 차갑다”
🧠 기업 개요
신테카바이오는 2019년 코스닥에 상장한 AI 기반 신약 후보물질 발굴 기업이야.
DNA·게놈 정보 분석을 통해 치매·암·면역 질환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제약사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거나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해.
또한 최근에는
- 美 암센터와 공동연구
- AI 슈퍼컴퓨팅 센터 ABSC 오픈
- 동물실험 대체 오가노이드 연구 등도 진행하며 테마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종목 중 하나야.
📈 2025년 5월 기준 주가 흐름
항목 | 수치 |
현재가 | 7,110원 |
전일 대비 | ▼1.93% (–140원) |
고가 | 7,320원 |
저가 | 6,850원 |
거래량 | 약 9.9만 주 |
시가총액 | 약 1,084억 원 |
✔️ 최근 외국인 순매도 지속, 기관은 간헐적 매수
✔️ 뉴스 이슈는 많지만 거래대금은 정체, 단기 조정 구간
📊 실적 요약
구분 | 수치 |
매출액 | 1억 원 (거의 전무) |
영업이익 | -36억 원 |
당기순이익 | -43억 원 |
EPS | -279원 |
ROE | -25.68% |
PER | 음수 (적자 지속) |
PBR | 4.35배 |
📌 3년 연속 매출 미미 + 적자 지속
→ AI 신약개발 기대감 외에는 수익 기반 전무
→ 재무구조 상 자금조달 or 관리종목 위험도 내재
🔬 파이프라인 진척도 & 핵심 이슈
- AI 신약 플랫폼을 통해 후보물질 다수 도출
- 하지만 아직 1상 이상 임상 진입 사례는 없음
- 대신, 최근 美 M.D 앤더슨 암센터, 국내 KIT 등과 MOU 다수 체결
- AI 오가노이드 실험 등 새로운 플랫폼 확장 시도
✔️ 단기적으로는 "뉴스발 테마주"
✔️ 중장기적으로는 “기술이전·임상 진입 여부”가 중요
💡투자 인사이트
포인트 | 판단 |
📊 실적 | 거의 없음, 구조적 적자 |
🔬 기술력 | AI 기반 후보물질 발굴력은 존재 |
🔥 테마성 | 오가노이드, AI 슈퍼컴퓨팅 등 강력 |
🧨 리스크 | 임상 진입 미진 + 상장폐지 경고 뉴스 있음 |
💰 전략 | 단기 트레이딩 외엔 철저한 분할 접근 추천 |
🧬 파로스아이바이오 주가 분석 (2025년 5월 최신) “테마는 화려했지만, 주가는 차갑다”
📈 1. 현재 주가 현황 구분 수치
구분 | 수치 |
종가 | 6,300원 |
전일 대비 | ▼ 510원 (–7.49%) |
시가총액 | 약 815억 원 |
고가 / 저가 | 6,900원 / 6,300원 |
거래량 | 98,404주 |
거래대금 | 6.33억 원 |
외국인 수급 | 연일 순매도, 4/30일 하루에만 –86,965주 |
📌 2일간 고점 대비 30% 가까이 하락하며
AI 신약 기대감의 급등 후 급락 전형적인 흐름을 보여줌
📊 2. 실적 요약
구분 | 수치 |
매출 | 거의 없음 |
영업이익 | –29억 원 |
순이익 | –22억 원 |
EPS (주당순이익) | –168원 |
PER | 적자 기업, 음수 |
PBR | 4.38배 (고평가) |
ROE | –44.97% (극단적 부실) |
실적 없이 오직 AI 테마와 폐암 신약 후보물질 발표에 의존하는 구조
🔬 3. 재무 건전성
항목 | 수치 |
부채비율 | 5.45% (우수) |
당좌비율 | 1,670%+ (높은 유동성) |
유보율 | 151.76% (하락 추세) |
📌 부채비율과 유동성은 안정적
→ 다만, 지속적인 손실과 자산 감소는
→ 장기적으로 기업의 소진 속도를 키움
🧪 4. 테마성과 시장 반응
- 美 암학회 발표한 PHI-501 전임상 결과
- 루마크라스 내성 폐암에도 효과 있다는 강한 스토리
- 하지만, 임상 1상 진입 전임
- 공모가 대비 고점 돌파 후 급격한 이탈
- 개미 물량 쏠림 + 외국인 순매도로 수급 약화
💡 투자 시선
항목 | 평가 |
AI 바이오 테마 | ★★★★★ |
실적 기반 | ☆☆☆☆☆ |
외국인/기관 수급 | ★☆☆☆☆ |
기술력 기대감 | ★★★★☆ |
현 주가 메리트 | ★★☆☆☆ |
'증권 선물 Dairy 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하이닉스 – 진짜 AI 관련주일까?》HBM부터 엔비디아 공급까지, AI 반도체 승부수 총정리 (0) | 2025.05.21 |
---|---|
🚀 K바이오 글로벌 진출 교두보! 인벤티지랩 × 베링거인겔하임 딜 구조 분석 인벤티지랩 주가 (0) | 2025.05.03 |
🏥 비대면 진료, 정말 의료비 절감에 효과가 있을까? 루닛 , 셀바스ai (원격진료 관련주) (1) | 2025.04.24 |
🤖 인공지능에게 감정이 생긴다면? , 레인보우로보틱스, 클로봇 ,(로봇 관련주) (0) | 2025.04.23 |
🧠 AlphaFold도 완벽하진 않다? 신테카바이오, 아이진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