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대면 진료, 정말 의료비 절감에 효과가 있을까? 루닛 , 셀바스ai (원격진료 관련주)
🏥 비대면 진료, 정말 의료비 절감에 효과가 있을까?
“앱으로 진료받고 약까지 택배로 받는 시대, 정말 병원 가는 것보다 돈 아끼는 걸까?”
2020년 이후, 코로나19는 우리 삶을 바꿔놓았습니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비대면 진료’의 대중화.
전화, 영상통화, 심지어 AI 챗봇으로 진료받고 처방전까지 받는 일이 낯설지 않게 되었죠.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질문이 생깁니다.
“진짜 돈 아껴지나요?”
단순히 편리하다는 이유만으로는 제도화될 수 없죠.
실제로 의료비 절감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데이터와 함께 알아봅시다!
- 💸 내원 진료 VS 비대면 진료, 비용 비교
- 🕒 시간도 돈이다 – 간접비용 절감 효과
- 📉 건강보험 재정에도 도움이 된다?
- ❗주의할 점은?
- ✅ 결론 – 비대면 진료, 가성비 의료의 핵심 될까?
💸 내원 진료 VS 비대면 진료, 비용 비교
항목 | 내원 진료 | 비대면 진료 |
진료비 | 약 10,000원(초기 기준) | 약 7,000원 |
교통비 | 약 2,000 ~6,000원 | 0원 |
대기 시간 | 평균 30분 이상 | 거의 없음 |
소요 시간 | 왕복 포함 1~2시간 | 10~15분 내외 |
기타 비용 | 주차비, 식비 등 추가 발생 가능 | 없음 |
📌 실제로 일부 공공 데이터에 따르면,
비대면 진료 도입 후 1인당 외래 진료비가 평균 15~20% 절감되었다는 분석도 존재합니다.
🕒 시간도 돈이다 – 간접비용 절감 효과
비대면 진료는 단순히 진료비만 줄여주는 게 아닙니다.
- 직장인: 병원 가려면 반차? 비대면이면 점심시간 해결!
- 육아맘: 아이 맡기고 병원 가는 수고 ↓
- 노약자: 병원 오가는 데 드는 체력·비용 ↓
▶ '의료 소비 시간의 단축'은 곧 생활비의 절감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 건강보험 재정에도 도움이 된다?
국내 건강보험공단의 시뮬레이션 자료에 따르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만성질환자들이 비대면 진료로 재진을 받으면 전체 외래 진료비용의 연간 2~3조 원가량 절감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어요.
✅ 약 처방률은 유사하지만,
✅ 검사·입원 등 추가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
❗주의할 점은?
- 초기 진단이 필요한 경우는 반드시 대면 진료 필요
- 증상이 모호하거나 긴급한 경우는 비대면 진료로는 한계
- 플랫폼 사용 시 보안·개인정보 이슈 여전
✅ 결론 – 비대면 진료, 가성비 의료의 핵심 될까?
비대면 진료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닙니다.
경제적인 의료 접근 방식이며, 시간과 비용을 동시에 절감할 수 있는 대안입니다.
물론 완벽한 대체는 아니지만,
**"비용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선택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는 건 분명하죠.
앞으로도 AI와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현명한 의료소비’**의 시대는 더욱 가까워질 것입니다.
📋 비대면 진료 및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주요 상장사
기업명 | 종목코드 | 주요 역할 및 기술 | 특이사항 |
비트컴퓨터 | 032850 | 원격진료 플랫폼, 의료정보 솔루션 | 국내 최초 원격진료 솔루션 개발 경험 |
셀바스AI | 108860 | AI 음성인식 진단보조, 건강관리 챗봇 | 음성 기반 의료 AI 챗봇 상용화 |
솔트룩스 | 304100 | AI 기반 의료상담, 지능형 상담 솔루션 | 정부 AI 바우처 사업 참여 기업 |
루닛 | 328130 | 의료영상 분석 AI | 암 조기진단 솔루션 글로벌 수출 |
뷰노 | 338220 | AI 판독 보조, CT·X-ray 자동 분석 | 다수 병원에 임상 적용 중 |
에임메드 | 214610 | 원격의료 및 스마트헬스 솔루션 | 가정용 원격 진단기기 개발 기업 |
이아이디 | 093230 | 비대면 건강관리 플랫폼 | 유전자 기반 맞춤형 건강관리 R&D |
라이프시맨틱스 | 347700 |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LifeSemantics) | 환자 중심 건강데이터 관리 솔루션 |
인피니트헬스케어 | 071200 |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 | 병원 IT 인프라 공급 주력 |
U1N (구. 유비케어) | 032620 | 디지털 의료정보 시스템 | 병원 EMR 시스템 선도 기업 |
🧠관련 테마 ETF
ETF | 코드 | 구성 |
KINDEX 스마트헬스케어 ETF | 306520 | 디지털 의료·바이오 헬스케어 기업 |
TIGER KRX 헬스케어 ETF | 344610 | 건강관리 업종 대표주 |
HANARO Fn K-디지털치료제 ETF | 464410 | 디지털 치료기기, 원격진료 관련주 집중 |
✅ 요약
- 비트컴퓨터, 셀바스AI, 루닛, 솔트룩스 등은 비대면 진료 인프라 또는 AI 진단 보조 분야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 중입니다.
- 정부의 의료정책 및 고령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헬스 수요 확대에 따라 중장기 성장 테마로 주목할 만합니다.
- 투자 시, 기술 신뢰성·인증 여부, 플랫폼 상용화 정도, 그리고 각 기업의 흑자전환 여부가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 루닛 실적 및 투자 포인트 분석
🧠 1. 기업 개요
핵심 기술: AI 기반의 흉부 X-ray 및 유방암 진단 솔루션 (Lunit INSIGHT 시리즈) 사업 영역: 진단 영상 솔루션 → 암 진단, 병변 탐지 주요 파트너: 삼성서울병원, GC녹십자아이메드, 유럽·미국 주요 병원 등
💹 2. 주가 흐름 (2025.04.24 기준)
- 현재가: 54,700원 (+2.43%)
- 고가/저가: 55,400원 / 53,400원
- 거래량: 278,717주
- 시가총액: 약 1조 5,860억 원
💸 3. 실적 현황 (연결 기준, 억 원)
항목 | 2022 | 2023 | 2024(E) | 2025(E) |
매출액 | 139 | 251 | 542 | 796 |
영업이익 | -507 | -422 | -677 | -584 |
순이익 | -391 | -368 | -824 | -658 |
ROE | -110.27% | -24.21% | -41.21% | -37.39% |
PER | -8.60배 | -59.34배 | -22.33배 | -23.53배 |
PBR | 5.46배 | 10.00배 | 11.20배 | 8.28배 |
▶ 적자는 계속되지만 매출 성장세는 가파르며, 글로벌 확장에 따른 투자 비용이 반영 중입니다.
🔍 4. 투자 포인트
✅ AI 의료기기 상용화: 루닛의 AI 솔루션은 미국 FDA 승인 및 유럽 CE 인증을 통해 신뢰 확보
✅ 글로벌 진출 가속: 미국·일본·유럽 중심 병원과 계약 확대
✅ 정부 정책 수혜주: 한국 및 각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강화 정책과 맞물려 수혜 가능성 높음
✅ 의료비 절감 기대: 조기 진단 및 재진 효율화를 통한 공공의료비 절감 효과 예상
⚠️ 리스크 요인
❗ 아직 적자 지속 기업 → 흑자 전환이 불투명
❗ 고평가 논란 (높은 PBR, 마이너스 PER)
❗ 의료 AI 기술의 경쟁 심화 (뷰노, 딥노이드, 글로벌 빅테크 진출)
🔚 결론
루닛은 AI 기반 의료 진단 분야의 선도기업으로, 비대면 진료 및 디지털 헬스케어 흐름에서 핵심 주자로 자리매김 중입니다. 다만 단기적인 수익성보다는 중장기 성장성에 초점을 맞춘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 셀바스AI 기업분석 & 투자포인트 (2025.04.24 기준)
📌 1. 기업 개요
- 주력 사업: 음성인식·합성, AI 자막/문서화, AI 의료기록 솔루션 (EMR/EPIC 연동)
- 대표 기술: 셀바스메디보이스, 셀바스헬스, 셀바스노트
- 활용 분야: 병원용 AI 의무기록 자동화, 보험·약국 음성응대 시스템, AI 스피커 연동
💹 2. 주가 정보
- 현재가: 13,480원 (전일 대비 -1.68%)
- 시가총액: 약 3,628억 원
- 거래량: 379,219주
- 52주 최고/최저가: 상한가 17,820원 / 하한가 9,600원
💸 3. 재무 데이터 요약 (연결기준, 억 원)
항목 | 2022 | 2023 | 2024(E) | 2025(E) |
매출액 | 509 | 530 | 1,125 | 1,359 |
영업이익 | 52 | 41 | 8 | 154 |
당기순이익 | 79 | -1 | -10 | -26 |
EPS(원) | 291 | -102 | -216 | -200 |
ROE(%) | 13.90 | -2.74 | -4.61 | -4.61 |
PER(배) | 22.31 | -193.45 | -53.95 | -62.41 |
PBR(배) | 2.75 | 4.04 | 2.60 | 3.01 |
▶ 매출은 큰 폭으로 증가 중이나, 여전히 수익성은 약한 편입니다.
🔍 4. 투자 포인트
✅ AI 헬스케어 산업 집중
- AI 음성진료 시스템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 약국 음성처방 시스템과의 연동으로 주목.
- 음성기반 인공지능 챗봇 및 상담솔루션은 병원 고객센터, 보험사에 도입 확산 중.
✅ 정책 수혜 기대
- 2024~2025년 보건복지부 중심의 '의료 디지털 전환' 정책 확대
- 원격진료 합법화 및 의료기록 전산화 의무 확대 시, 수혜 유망
✅ 글로벌 진출 가능성
- 동남아, 중동 지역 병원·보험사 대상 음성 AI 솔루션 수출 시도 중
⚠️ 리스크 요인
❗ 흑자 전환 지연 및 영업이익률 하락 추세
❗ 경쟁 심화 (뷰노, 루닛, 솔트룩스 등 AI헬스 동종 기업들과의 비교)
❗ 플랫폼 수익화 속도 저조 → 지속적인 자금 소요
🔚 결론: "기술력은 있다, 실적 개선은 숙제"
셀바스AI는 기술력 기반의 미래 헬스케어 주자로, 비대면 진료·의료 디지털 전환이라는 시대 흐름에 탑승한 종목입니다. 다만 실적 개선과 수익 구조 확립이 향후 투자 판단의 핵심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