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관세 리스크에 강한 종목 vs 약한 종목, 실적에서 드러난다
“말이 아니라, 숫자가 말해준다”
📍 목차
- 1. 관세가 실적에 미치는 방식은?
- 2. 2024~2025 실적발표에서 ‘관세’ 언급한 기업들
- 3. 관세 리스크에 약한 종목: 특징과 사례
- 4. 관세 리스크에 강한 종목: 특징과 사례
- 5. 투자 전략: 어떤 산업이 더 민감한가?
1. 관세가 실적에 미치는 방식은?
관세 이슈는 기업 재무제표의 3가지 영역에 직접 영향을 준다.
항목 | 영향 |
매출 | 관세 부과 → 수출 가격 경쟁력 약화 → 매출 감소 우려 |
매출원가 (COGS) | 수입재료에 관세 → 원가 상승 → 이익률 하락 |
영업이익 | 마진 압박 + 환차손 동반 → 영업이익 급감 가능성 |
실적발표 시즌에는
📉 “관세 부담으로 마진이 감소했다”,
📉 “수출량 조정 중”,
📈 “FTA를 통한 무관세 확보로 비용 절감” 같은 멘트가 단골로 나온다.
2. 2024~2025 실적발표에서 ‘관세’ 언급한 기업들
🔎 실제 기업들의 IR, 컨퍼런스콜, 실적자료에서 “관세” 혹은 “무역장벽”을 언급한 주요 기업을 정리해보면:
이처럼 산업마다 관세에 대한 민감도와 대응 전략이 다르다.
3. 관세 리스크에 약한 종목: 특징과 사례
🔻 공통 특징
- 수출 의존도 높고, 미국·중국 수출 비중 큼
- 원재료·부품 수입 의존도 높음
- 관세 회피를 위한 FTA 전략 부족
- 원가 절감보다 판매 전략에 의존
🔍 대표 사례
1. POSCO홀딩스
- EU 탄소국경세로 유럽 수출에 타격
- 실적 발표에서 “수출 타깃 다변화 검토 중” 언급
2.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 미국 AD·CVD(상계관세) 조치 직격탄
- 2024년 하반기 수출 감소로 실적 가이던스 하향 조정
3. 한화솔루션
- 미국 태양광 셀 관세 부활 "
- 미국 내 생산 확대 검토 중" = 관세 부담 인정
4. 관세 리스크에 강한 종목: 특징과 사례
🔺 공통 특징
FTA 체결국 중심 수출 구조
생산기지를 다변화하여 관세 회피 가능
고부가가치 제품 → 가격 전가력 있음
고객사와 장기계약 구조로 가격조정 유연
🔍 대표 사례
1. 현대차그룹 (현대차·기아)
- IRA, KORUS FTA로 미국 내 관세 거의 없음
- "세제 혜택+관세 회피를 동시에 확보" = 해외 생산 전략 빛남
2. LG전자
- 멕시코, 폴란드 공장 활용 → 유럽/북미 수출 FTA 무관세 구조
- 관세 이슈 거의 없음
3. 삼성SDI
- 헝가리·미국 배터리 공장 보유 → 관세 회피 효과 + IRA 수혜
- 고성능 배터리 → 고객사 단가 전가 가능
5. 투자 전략: 어떤 산업이 더 민감한가?
산업군 | 관세 민감도 | 대응 전략 |
철강·화학·에너지 | 매우 높음 | 탄소국경세, 수출입 비중 조절 |
전기차·배터리 | 높음 | 해외공장/현지화로 회피 가능 |
식음료 | 중간 | 곡물·포장재 수입단가 영향 |
반도체 ·IT | 중간 - 낮음 | 시스템 반도체는 영향 적음, 메모리는 지역 따라 다름 |
내수 소비재 | 낮음 | 국내 생산·판매 구조 중심 |
✍ 쫑’s 한줄평
“관세는 기업 입장에서 운명보다 전략의 문제다.
실적에서 ‘관세’ 한마디가 나왔는지, 그걸 보면 미래도 보인다.”
반응형
'증권 선물 Dairy 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면역항암제 관련주 집중 분석 – ABL바이오, 파멥신, 유틸렉스 (0) | 2025.04.18 |
---|---|
📊 리졸브 AI 기술적 분석 & 단타 전략 (1) | 2025.04.11 |
📈 삼성전자 주가, 2025년 말까지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0) | 2025.04.07 |
📊 나스닥 폭락이 한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1) | 2025.04.05 |
📉 LG에너지솔루션 적자에도 83조 시총? (0) | 2025.03.29 |